IP의 역할
- 지정한 IP 주소(IP Adress)에 데이터 전달
- 패킷(Packet)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
IP의 간략한 동작 원리
- 출발지 IP, 목적지 IP, 기타... 의 정보와 보내고 싶은 전송 데이터를 담은 패킷을 인터넷 망에 던진다.
- 인터넷 망은 많은 노드(서버)들로 이루어져 있는데, 이 노드들은 정해진 규약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패킷에 담긴 출발지와 목적지를 다 이해 할 수 있다. 그렇게 노드들이 각자 경로를 설정하며 패킷이 목적지로 전달된다.
IP의 한계
1. 비연결성 -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
- 대상 서비스가 불능이여도 패킷을 보내는 입장에서 알 방법이 없음
2. 비신뢰성 - 중간에 패킷이 사라질 경우, 패킷이 순서대로 안 올 경우
-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중간의 노드(서버) 하나에 문제가 있는 경우, 패킷이 손실 될 수 있다. 그리고 이 때 패킷이 손실됐는지의 여부를 보낸 측에선 알 수가 없다.
- 패킷의 용량이 굉장히 큰 경우, 한번에 많은 용량을 보내기 부담스럽기 때문에 패킷을 끊어서(대략 1500byte) 보낸다. 이 때, 나눠진 각각의 패킷들의 목적지는 같지만 당시의 서버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이용해 갈 수 있다(차가 막힐 때 좀 더 빠른 경로로 가려는 것처럼). 이 경우, 패킷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.
3. 프로그램 구분 -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인 경우
- 예를 들어 한 PC에서 음악 감상과 게임의 온라인 연결을 동시에 하고 있는 경우,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의 IP를 쓰고 있는데 이를 구분할 수 없다.
IP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
- TCP
'WEB > Internet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RT와 DNS (0) | 2021.12.10 |
---|---|
TCP, UDP (0) | 2021.12.09 |